728x90
반응형
SMALL

세무회계/세법 24

☆종합소득세 세율☆

오늘은 종합소득세 세율을 연도별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!!​​우선,세율이 적용되는 방법은= 과세표준 × 세율 - 누진공제액입니다.​​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액을 차감한 금액(종합소득과세표준)에세율을 곱하고 누진공제 금액을 차감하면 산출세액이 나옵니다.​산출세액에서 세액감면, 세액공제 금액을 차감하면 결정세액이 나오게 되고, 결정세액에서 가산세가 더해지거나 기납부 세액을 차감한 금액이 추가로 납부 또는 환급할 세액이 되는 거죠.​소득세는 누진세 방식으로 납부하는 세액인데,이는 구간별로 적용되는 세율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.​​예를 들어 과세표준이 17,000,000원일 경우종합소득세 : 1,290,000원(1,700만 원 × 15%) - 126만 원(누진공제액) = 1,290,000원종합소득세 : 840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5.22

☆부가가치세 24년 1기 예정신고에 관해 알아보기☆

일반과세자의 2024년 1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기한은 2024.4.25.입니다. 부가가치세 예정신고와 관련한 주요 사항을 정리하여 안내드리려고 합니다. 1. 부가가치세 과세기간 및 신고·납부기간 (1) 신고·납부기간 과세기간 과세대상기간 신고납부기간(*) 신고대상자 제1기 1.1. ~ 6.30. 1.1. ~ 3.31. 예정신고 4.1. ~ 4.25. 법인사업자 예정고지 영세법인사업자, 개인일반사업자 4.1. ~ 6.30. 확정신고 7.1. ~ 7.25. 법인사업자 1.1. ~ 6.30. 확정신고 영세법인사업자, 개인일반사업자 (*) 신규사업자는 사업개시일 또는 사업개시전 등록일로부터 그 날이 속하는 예정신고기간의 종료일까지를 최초의 예정신고기간으로 함. 1) 예정신고 ① 법인사업자(영세법인사업자는 제외)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4.12

법인세법의 성실신고확인제도에 대해 알아보기

오늘은 법인세법상의 성실신고확인제도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. ​ ​ ⊙ 법인세법의 성실신고확인제도 도입 취지 ​ 소득세법은 개인사업자의 수입 금액이 업종별로 15억 원(제조업·음식숙박업 등은 7억 5천만 원, 부동산임대업·서비스업 등은 5억 원) 이상인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장부기장 내용의 정확성 여부 등을 세무대리인에게 확인받은 후 신고하는 성실신고확인제도를 두고 있습니다. ​ 종전의 법인세법에는 성실신고확인제도가 없어서 성실신고확인대상 개인사업자가 현물출자나 사업 양수도 방법으로 개인사업체를 법인으로 전환함으로써 성실신고확인을 회피할 수 있었습니다. ​ 이에 따라 2017년 말 성실신고확인대상 개인사업자가 법인으로 전환한 경우 3년간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하도록 법인세법을 개정하였으며, ​ 부동산임대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3.22

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에 대해 알아보기

조세특례제한법상 세액감면 중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​ ​ ⊙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(조특법 7조) ​ ​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제도는 일정한 업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에 업종, 지역, 규모에 따라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감면하는 제도입니다. ​ 이 제도를 처음 도입한 1992년에는 2년간 한시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적용시한이 계속 연장되어 중소기업에 대한 조세지원 제도로 고착화되어 이익이 많이 발생하는 중소기업에 더 큰 혜택이 돌아간다는 비판이 있었기에, 2018.1.1. 이후 개시하는 과세연도부터는 1억 원을 한도로 감면을 하되, 고용인원이 감소한 경우 감소된 인원 1인당 500만 원을 감면세액에서 차감하도록 하였습니다. ​ ​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중소기업 중 감면대상업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3.20

☆법인세 신고·납부에 대한 정리¹☆

오늘은 법인세 신고기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​ ​ ⊙ 법인세 신고기한 법인세의 납세의무가 있는 법인은 사업연도의 종료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(성실신고확인서 제출대상 내국법인이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4개월) 이내에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를 본점 관할세무서장에게 신고해야 합니다. ​ ​ ⊙ 신고·납부기한의 연장 ​ ​ 1) 신고·납부기한이 공휴일, 토요일, 근로자의 날인 경우 국세기본법 또는 세법에서 규정하는 신고, 신청, 청구, 그 밖에 서류의 제출, 통지, 납부 또는 징수에 관한 기한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다음 날을 기한으로 합니다. '23년 개정(「공휴일에 관한 법률」에서 일요일을 공휴일에서 제외하고 대체공휴일을 별도로 규정함에 따라 국세기본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3.09

☆법인세의 종류와 법인 종류별 납세의무에 대한 정리☆

3월에 신고하는 법인세 신고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 ⊙ 법인세의 납세의무 ​ 1. 법인세의 종류 법인세는 과세소득에 따라 「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」, 「청산소득에 대한 법인세」, 「토지 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」 및 「미환류소득에 대한 법인세」로 나누어집니다. ※ 2009.3.16.부터 2012.12.31.까지 취득한 자산을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는 토지 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를 과세하지 아니한다.(2009.5.21. 법률 9673호 부칙 4조, 서면-2020-법인-3827[법인세과-4118], 2020.11.19.) ​ ​ 2. 법인 종류별 납세의무 ​ (1)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 ​ 1) 내국법인과 외국법인 ​ 법인은 본점·주사무소 또는 사업의 실질적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3.07

☆연말정산 특별세액공제 정리☆

★특별세액공제란 근로소득자(일용근로자 제외)가 해당 과세기간에 지급한 금액 중 일정 보험료 세액공제, 의료비 세액공제, 교육비 세액공제, 기부금 세액공제("항목별 세액공제")와, 표준세액공제를 말한다. ​ ​ ​ 1) 보험료 세액공제 ​ 근로자가 기본공제 대상자를 피보험자로 하는 보장성보험의 보험료 및 장애인전용 보장성 보험료를 지급한 경우 지급한 금액의 12%(장애인전용 보장성 보험료는 15%)를 세액공제하는 제도이다. 이 때 보장성보험의 보험료와 장애인전용 보장성 보험료는 그 합계액을 각각 연 100만원을 한도로 한다. ​ ​ ​ 2) 의료비 세액공제 ​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기본공제대상자(나이 및 소득의 제한을 받지 않음)를 위하여 해당 과세기간에 의료비를 지급한 경우 다음 금액의 15%(미숙아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3.06

☆연금계좌세액공제☆

★ 연금계좌세액공제 ★ ​ ​ ☞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연금계좌에 납입한 금액 중 다음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의 12% ​ [종합소득금액 4천5백만원 이하(근로소득만 있는 경우는 총급여액 5천5백만원 이하)인 거주자는 15%] 다음에 해당하는 금액 이라 함은 ① 소득세가 원천징수되지 아니한 퇴직소득 등 과세가 이연된 소득 ② 연금계좌에서 다른 연금계좌로 계약을 이전함으로써 납입되는 금액 ​ 또한, 연금계좌 중 연금저축계좌에 납입한 금액이 연 6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금액은 없는 것으로 하고, 연금저축계좌에 납입한 금액 중 600만원 이내의 금액과 퇴직연금계좌에 납입한 금액을 합한 금액이 연 9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금액은 없는 것으로 한다. ​ 다만, 세액 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2.27

☆월세액 세액공제☆

☞ 월세액 세액공제 ​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(단독세대주 및 일정 요건의 세대원 포함)로서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국민주택규모의 주택 또는 기준시가 4억원 이하 주택(주거용 오피스텔, 고시원 포함)을 임차하기 위하여 지급하는 월세액(연 750만원 한도)의 15%(17%)에 해당하는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한다. ​ ​ 1) 공제 대상자 ​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한 세대의 세대주(세대주가 월세액 세액공제, 주택마련저축,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및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를 받지 아니한 경우에는 세대의 구성원을 말하며,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외국인°을 포함한다)로서 해당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(해당 과세기간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2.25

☆외국인 기술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☆

☞ 외국인 기술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(조특법 §18) ​ ​ 전문기술을 습득한 일정 외국인기술자가 국내에서 내국인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근로소득에 대해 10년간 소득세의 50%를 감면하는 제도로, 외국 선진 기술 도입과 외국인기술자의 국내유치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. ​ ▷ 외국인기술자 소득세 감면 관련 최근 세법 개정사항 정리 - '22년말 개정 시 소득세 감면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확대하였고, 이는 '23.01.01. 당시 국내에서 최초로 근로를 제공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외국인기술자에 대해서도 적용함. - 한편 19년말 개정 시 도입된 소재·부품·장비 관련 외국인기술자에 대한 소득세의 감면 확대(3년간 70%, 2년간 50%) 규정은 적용기한이 최초로 근로를 제공한 날 기준 22.12..

세무회계/세법 2024.02.22
728x90
반응형
LIST